반응형
뉴스에서 자주 들리는 “추경”이라는 단어, 도대체 무슨 뜻일까요?
정부가 돈을 더 쓰겠다는 건가? 무조건 좋은 걸까?
오늘은 추경(追加更定豫算, 추가경정예산)의 개념부터 편성 절차, 국민에게 미치는 영향까지
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!
📌 추경이란? (추가경정예산의 정의)
추경이란, 이미 국회에서 통과된 본예산에 추가로 수정·보완해 편성하는 예산안입니다.
- 원래 정부는 전년도에 다음 해 예산(본예산)을 미리 짭니다.
- 하지만 예상치 못한 경제 상황, 재난, 세수 부족 등이 발생하면 추가적인 예산이 필요하죠.
- 그래서 기존 예산을 보완하기 위해 편성하는 예산이 바로 “추경”입니다.
✅ 쉽게 말해,
“예상 못 한 상황이 생겼으니, 예산 좀 더 짜볼게요!”라는 정부의 추가 조치입니다.
🧭 왜 추경을 편성할까? (편성 사유)
다음과 같은 상황이 발생했을 때, 정부는 추경을 추진합니다:
상황 | 예시 |
경기 침체 | 내수 부진, 소비 감소 등으로 긴급 경기 부양 필요 |
자연재해 발생 | 홍수, 태풍, 지진 등 복구 예산 확보 |
전염병 확산 |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대응 비용 |
세수 부족 | 예상보다 세금이 덜 걷힌 경우 운영 보완 |
물가 급등 | 에너지 지원금, 서민 생활비 보전 필요 |
📌 2020년 코로나19 대응 시기에는 매년 2차례씩 추경이 편성되며
재난지원금, 백신 구매, 소상공인 지원금 등이 포함되었습니다.
🏛️ 추경 편성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?
- 기획재정부 등 정부 부처에서 추경 예산안을 마련
- 국무회의에서 추경안 심의
- 국회 제출 →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의
- 본회의 의결 → 통과 시 확정 및 집행
➡️ 추경은 반드시 국회 승인 후에야 실행 가능합니다.
💰 추경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?
긍정적인 영향 | 부정적인 우려 |
경기 부양 효과 | 재정 건전성 악화 가능성 |
긴급 재난 대응 가능 | 물가 상승 자극 가능 |
일자리 창출 유도 | 특정 계층만 혜택받을 우려 |
즉, 추경은 시급한 상황 대응에 필수적이지만,
무리한 편성은 국가 빚 증가 → 장기적으로 국민 부담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✅ 실제 예시로 보는 ‘추경’
📌 2022년 2차 추경안 (코로나 대응)
- 소상공인 손실보상금
- 저소득층 긴급생활지원금
- 방역 인력 지원
→ 약 59조 원 규모
📌 2023년 미편성
- 세수 결손 우려로 편성이 검토됐으나, 실제론 이루어지지 않음
📌 2024년 논의 중 추경(가정)
- 고물가 대응, 농민 지원금, 청년 일자리 확대 등이 이슈로 언급됨
💬 여러분은 추경 편성, 어떻게 생각하시나요?
재난 상황엔 꼭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지만,
지속적인 추경 편성이 재정 건전성을 해친다는 시각도 있습니다.
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?
반응형